23년 6월 14일 수요일
오늘의 목표 : Spring 기초 1주차 완강 / 2주차 수강 시작하기
오늘 공부한 내용🤓
1]
어제 잘 되지 않았던 메모오류를 먼저 해결했다.
튜터님께 찾아가서 같이 디버깅을 해보면서 데이터를 보내는 곳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
다시 처음부터 차근차근 코드를 점검해봤는데 역시나 내 실수였다.
MemoResponseDto 생성자에서memo.get이 아닌 그냥 get만 넣었으니.. 당연히 안불러와지는 것...
심지어 id값은 memo.getId();의 형태로 불러와놓고 Username/contents 두개는 그냥 불러오는 큰 실수를 저질렀다.
그래서 재빨리 수정한 코드..!
public MemoResponseDto(Memo memo) {
this.id = memo.getId();
this.username = memo.getUsername();
this.contents = memo.getContents();
}
오류 해결하고 메모장 update와 delete 기능구현까지 오류없이 진도를 나갈 수 있었다.
2]
Database / SQL
처음 메모장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아서 Map으로 저장데이터를 받아왔다. Map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새로고침하면 사라짐!
1주차 19강부터 Database와 SQL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실습을 했다.
3]
중복코드가 많은 Memo Project의 코드들을 3 Layer Architecture에 따라 3개로 분리하는 실습을 했다.
코드가 굉장히 간결해졌다. (따라 쓴 코드지만 진짜 개발을 한 느낌..!)
[MemoController]
package com.sparta.memo.controller;
import com.sparta.memo.Service.MemoService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questDto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sponseDto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*;
import java.util.List;
@RestController
@RequestMapping("/api")
public class MemoController {
private final MemoService memoService;
//final이기 때문에 초기화가 되야하기 때문에 하단에 생성자를 만듬
public MemoController(MemoService memoService) { // Bean 에서 만든 객체로 넣어줌
this.memoService = memoService;
} //생성자의 파라미터를 통해서 받아 온 다음에 초기화가 진행!
@PostMapping("/memos")
public MemoResponseDto createMemo(@RequestBody MemoRequestDto requestDto) {
return memoService.createMemo(requestDto);
}
@GetMapping("/memos")
public List<MemoResponseDto> getMemos() {
return memoService.getMemos();
}
@PutMapping("/memos/{id}")
public Long updateMemo(@PathVariable Long id, @RequestBody MemoRequestDto requestDto) {
return memoService.updateMemo(id, requestDto);
}
@DeleteMapping("/memos/{id}")
public Long deleteMemo(@PathVariable Long id) {
return memoService.deleteMemo(id);
}
}
[MemoRepository]
package com.sparta.memo.repository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questDto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sponseDto;
import com.sparta.memo.entity.Memo;
import org.springframework.jdbc.core.JdbcTemplat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jdbc.core.RowMapp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jdbc.support.GeneratedKeyHold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jdbc.support.KeyHold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Repository;
import java.sql.PreparedStatement;
import java.sql.ResultSet;
import java.sql.SQLException;
import java.sql.Statement;
import java.util.List;
//데이터베이스 작업
@Repository
public class MemoRepository {
private final JdbcTemplate jdbcTemplate;
public MemoRepository(JdbcTemplate jdbcTemplate) {
this.jdbcTemplate = jdbcTemplate;
}
public Memo save(Memo memo) {
// DB 저장
KeyHolder keyHolder = new GeneratedKeyHolder(); // 기본 키를 반환받기 위한 객체
String sql = "INSERT INTO memo (username, contents) VALUES (?, ?)";
jdbcTemplate.update(con -> {
PreparedStatement preparedStatement = con.prepareStatement(sql,
Statement.RETURN_GENERATED_KEYS);
preparedStatement.setString(1, memo.getUsername());
preparedStatement.setString(2, memo.getContents());
return preparedStatement;
},
keyHolder);
// DB Insert 후 받아온 기본키 확인
Long id = keyHolder.getKey().longValue();
memo.setId(id);
return memo;
}
public List<MemoResponseDto> findAll() {
// DB 조회
String sql = "SELECT * FROM memo";
return jdbcTemplate.query(sql, new RowMapper<MemoResponseDto>() {
@Override
public MemoResponseDto mapRow(ResultSet rs, int rowNum) throws SQLException {
// SQL 의 결과로 받아온 Memo 데이터들을 MemoResponseDto 타입으로 변환해줄 메서드
Long id = rs.getLong("id");
String username = rs.getString("username");
String contents = rs.getString("contents");
return new MemoResponseDto(id, username, contents);
}
});
}
public void update(Long id, MemoRequestDto requestDto) {
String sql = "UPDATE memo SET username = ?, contents = ? WHERE id = ?";
jdbcTemplate.update(sql, requestDto.getUsername(), requestDto.getContents(), id);
}
public void delete(Long id) {
String sql = "DELETE FROM memo WHERE id = ?";
jdbcTemplate.update(sql, id);
}
public Memo findById(Long id) {
// DB 조회
String sql = "SELECT * FROM memo WHERE id = ?";
return jdbcTemplate.query(sql, resultSet -> {
if(resultSet.next()) {
Memo memo = new Memo();
memo.setUsername(resultSet.getString("username"));
memo.setContents(resultSet.getString("contents"));
return memo;
} else {
return null;
}
}, id);
}
}
[MemoService]
package com.sparta.memo.Service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questDto;
import com.sparta.memo.dto.MemoResponseDto;
import com.sparta.memo.entity.Memo;
import com.sparta.memo.repository.MemoRepository;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;
import java.util.List;
@Service
//@Component //Bean으로 등록
// @RequiredArgsConstructor : 롬복으로 잡는 방법
//변환, 전달, 확인 작업
public class MemoService {
//JdbcTemplate은 Spring에서 관리가 되고 있음!
private final MemoRepository memoRepository; // 롬복으로 주입 시 final 필수!
//Method로 주입받는 방법
//@Autowired 달고 (Spring Container에 의해서 관리되는 Bean class만 주입이 가능함!
// public void 메서드이름(MemoRepository memoRepository) {
// this.memoRepository = memoRepository;
// } //생성자의 파라미터를 통해서 받아 온 다음에 초기화가 진행!
//final이기 때문에 초기화가 되야하기 때문에 하단에 생성자를 만듬
public MemoService(MemoRepository memoRepository) {
this.memoRepository = memoRepository;
} //생성자의 파라미터를 통해서 받아 온 다음에 초기화가 진행!
public MemoResponseDto createMemo(MemoRequestDto requestDto) {
// RequestDto -> Entity
Memo memo = new Memo(requestDto);
// DB 저장
Memo saveMemo = memoRepository.save(memo);
// Entity -> ResponseDto
MemoResponseDto memoResponseDto = new MemoResponseDto(memo);
return memoResponseDto;
}
public List<MemoResponseDto> getMemos() {
// DB 조회
return memoRepository.findAll();
}
public Long updateMemo(Long id, MemoRequestDto requestDto) {
// 해당 메모가 DB에 존재하는지 확인
Memo memo = memoRepository.findById(id);
if(memo != null) {
// memo 내용 수정
memoRepository.update(id, requestDto);
return id;
} else {
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선택한 메모는 존재하지 않습니다.");
}
}
public Long deleteMemo(Long id) {
// 해당 메모가 DB에 존재하는지 확인
Memo memo = memoRepository.findById(id);
if(memo != null) {
// memo 삭제
memoRepository.delete(id);
return id;
} else {
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선택한 메모는 존재하지 않습니다.");
}
}
}
어려웠던 내용😵💫
사실 Java 언어 인터페이스의 개념도 모른 상태로 Spring 강의로 넘어 온 상태라 3 Layer Architecture로 코드를 작성했을 경우
아직은 어떻게 서로 값을 넘겨주는지 잘 모르겠다.
Bean을 사용해서 의존성 주입과 같이 실습했는데 오늘 수업을 들은 2주차의 내용들은 아직 전부 어려운 것 같다.
궁금&부족한 내용❓
1주차 강의를 끝내고 SQL 과제를 마무리했는데 앞서서 수업들었던 SQL코드가 하나도 생각이 안나서 스스로 작성할 수 없었다.
예제를 보고 작성하고 답안을 보고 작성하면서 이해했는데 이 부분은 혼자 다시한번 써봐야겠다.
느낀 점💡
처음 객체가 이해가 안되어서 혼란스러웠던 시절이 떠오른다.
고작 2-3주 전이지만..! Spring을 사용함으로서 객체지향에 대해 개념이 이제는 좀 잡혀가는 것 같다.
Spring의 기능을 사용하다보면 어떻게든 코드는 간결해진다.
앞으로도 모른다고 포기하지말고! 꾸준히 하다보면 깨우치는 날이 있을 거라고 믿는다!
화이팅이다!! :)
'📌TIL [Today I Learn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3년 6월 16일 금요일 (0) | 2023.06.16 |
---|---|
[TIL] 23년 6월 15일 목요일 (0) | 2023.06.15 |
[TIL] 23년 6월 13일 화요일 (0) | 2023.06.13 |
[TIL] 23년 6월 12일 월요일 (0) | 2023.06.12 |
[TIL] 23년 6월 09일 금요일 (0) | 2023.06.09 |